2008.03.09 14:24

輿地圖書

조회 수 14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輿地圖書는 1757년(영조 33)부터 1765년(영조 41)까지 전국 각 군현에서 편찬한 313개의 읍지(邑誌)·영지(營誌)·진지(鎭誌)를 모은 전국 읍지.

55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295개 군현의 읍지, 17곳의 영지, 1곳의 진지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 군현 중 39곳의 읍지가 누락되어 전한다. 책의 구성을 보면 제1책에서 제5책은 경기도, 제6책부터 제13책은 충청도, 제14책부터 제17책은 강원도, 제18책에서 제21책은 황해도, 제22책에서 제30책은 평안도, 제31책에서 제35책은 함경도, 제36책에서 제49책은 경상도, 제50책에서 제55책은 전라도로 묶여 있다. 〈여지도서〉는 간행된 지 270여 년이나 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다시 고치고 그동안 달라진 내용을 싣기 위해서 편찬되었으며, 1757년 홍양한(洪良漢)의 건의로 왕명에 따라 홍문관에서 각읍의 읍지를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동국여지승람》을 토대로 하여 조세수취와 연관된 진공·전세·대동 등이 독립적인 조항으로 정해졌으며, 방리·제언·도로·전결(田結)·부세(賦稅)·군병 등의 항목이 더해져 사회·경제적인 내용이 크게 늘어났다. 또한 각읍지의 첫머리에 채색지도가 실려 있고 거리와 방위 등이 정확한 대축척지도가 덧붙여져 18세기 중엽 지방사회의 실제 모습을 아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 책은 각 읍에 읍지 편찬 규식(規式)을 하달하여 각 군현에서 편찬하여 도에서 모은 읍지를 그대로 합편했기 때문에 항목구성은 일정하나 내용의 상세함과 소략함, 글씨, 지도 등이 군현에 따라 상이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비하여 강역(疆域), 방리(坊里), 도로, 건치연혁(建置沿革), 군명(郡名), 형승(形勝), 성지(城池), 관직, 산천, 성씨, 풍속, 능침(陵寢), 단묘(壇廟), 제언(堤堰), 창고, 목장, 봉수(烽燧), 물산(物産), 교량, 역원(驛院), 누정(樓亭), 사찰, 고적, 인물, 한전(旱田), 수전(水田), 진공(進貢), 전세(田稅), 대동(大同), 군병(軍兵) 등의 항목이 첨가되어 사회적·경제적인 내용이 강화된 점이 특징이다. 이는 지도와 읍지의 결합지도 필요성의 증대, 인구·상업 및 유통의 증가, 지방 재정 파악의 강화 등 18세기 중엽의 사회적·경제적인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의의가 있으며, 18세기 중엽의 조선 사회와 전국 각 지역의 사정을 파악하는 데 기초적인 자료로서도 중요하다.

이 지리지는 전국에 걸쳐 동일한 시기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사료적 가치가 높다. 1973년에 국사편찬위원회에서 2책으로 축소 영인·간행했다. 한국교회사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

여지도와 서의 결합이라는 의미로 서명을 붙일 정도로 지도가 중시된 것이다. 즉 읍지의 내용을 지도로 표현함에 따라 읍지 내용에 정확성이 증가되고 지도의 이용으로 당시 사람들의 공간적 인식에 변화를 초래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내용을 추가하여, 坊里가 建置沿革 앞에 처음 표기된다. 道路, 建置沿革, 郡名, 形勝, 城池(甕城), 官職, 姓氏, 風俗, 學校, 壇廟, 公廨, 倉庫, 物産, 驛院, 牧場, 關院, 烽燧, 舊增, 寺刹에 新增華芳寺, 龍門寺가 처음으로 표기된다. 古跡, 鎭堡, 名宦, 人物, 題詠, 塩店, 旱田, 水田, 大同, 均稅, 田稅, 軍兵, 俸廩. 

Who's 임종옥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 남해군 답사 자료 file 지리임닷컴 2019.11.20 425
11 南海邑誌 임종옥 2008.03.09 1496
10 南海郡 邑志 임종옥 2008.03.09 1472
9 大東地誌 임종옥 2008.03.09 1540
8 慶尙道 邑誌 임종옥 2008.03.09 1525
7 南海縣 邑誌 임종옥 2008.03.09 1484
» 輿地圖書 임종옥 2008.03.09 1498
5 東國輿地志 임종옥 2008.03.09 1455
4 輿地勝覽․新增東國輿地勝覽 임종옥 2008.03.09 1546
3 世宗實錄地理志 임종옥 2008.03.09 1558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