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공간형태를 사회적·심리적 변수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형태주의 지리학의 가장 중요한 접근방법이다. 인간은 지표환경, 공간환경에 대한 인식에서 인식공간을 형성하며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공간행태를 결정한다. 이때 지표환경은 개인의 기호와 관습, 문화적, 정치·경제적 요인에 의해 굴절되어 형성된다. 환경의 인식은 관찰자와 환경간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결국 인식공간은 인간이 그들의
환경을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환경을 단순화시킨 결과이며 각 개인은 나름대로의 인식공간을 형성한다. 그러나 한 사회집단 내에서 사회화와 경험이 유사화면 인식의 일치도도 높게 나타난다. 다시말해 인식공간은 사회집단이 자연공간에 대해 문화적, 사회적 정의를 부여한 공간으로 인지공간에 영역성의 의미를 부여하게 되면 영역공간으로 전환하게 된다.<인지공간의 접근방법>
1.구조적 접근방법. 인지공간의 지리적 확인과 그 구조파악이 목적이며 대표적인 학자는 Lynch이다. 그는 개인의 행태를 위한 의사결정의 구조로서 path, edge, districts, nodes, landmark 등의 5가지 구성요소를 내세웠다. 이 요소들은 물리적 공간내에서 이미지 제공을 위해 서로 어울리면서 일정한 규칙성을 개재, 공간이용과 지향성을 결정하는데 지각이 중요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2.평가적 접근 인간의 공간행태는 의사결정 이전에 환경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진다. 이 평가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며 환경에 대한 평가를 통해 공간인식을 확인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평가는 사회화, 경험과 행동의 목적을 바탕으로 지식, 인식능력의 한계, 선택의 제한성 등으로부터 자신의 이미지에 근거를 두고 이루어짐으로써 개인의 행태는 준 최적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진다.
3.선호적 접근방법. 인간의 공간행태는 목적의식에 따라 지역의 선호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지역의 선호도를 측정하면 공간에 대한 평가의 간접적 측정방법이 된다. Ruston은 선호도 개념을 이용하여 중심지 이용행태론을 연구하였는데 상품의 구매에 있어 중심지간의 선호도 측정에 「경제학의 현시선호이론」을 적용하였다. 현시선호이론은 종래의 효용이라는 주관적 개념을 기초로 하는 소비자 행동이론은 객관
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하고 시장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난 소비자의 선호도를 가지고 행동을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현시공간선호의 종류 ① 절대적 선호 :개인의 계층, 경제적 능력, 건강 등의 이유로 최적 중심지만 이동할 경우 ② 상대적 선호: 선택할 수 있는 중심지가 여러개인 경우. -명시적 선호 //잠재적 선호 그러나 이 모델은 선택하고 싶었지만 개인사정으로 선택하지 못한 경우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하지만 공간적 기회라는 개념을 통해 선택적·상대적 선호이론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환경을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환경을 단순화시킨 결과이며 각 개인은 나름대로의 인식공간을 형성한다. 그러나 한 사회집단 내에서 사회화와 경험이 유사화면 인식의 일치도도 높게 나타난다. 다시말해 인식공간은 사회집단이 자연공간에 대해 문화적, 사회적 정의를 부여한 공간으로 인지공간에 영역성의 의미를 부여하게 되면 영역공간으로 전환하게 된다.<인지공간의 접근방법>
1.구조적 접근방법. 인지공간의 지리적 확인과 그 구조파악이 목적이며 대표적인 학자는 Lynch이다. 그는 개인의 행태를 위한 의사결정의 구조로서 path, edge, districts, nodes, landmark 등의 5가지 구성요소를 내세웠다. 이 요소들은 물리적 공간내에서 이미지 제공을 위해 서로 어울리면서 일정한 규칙성을 개재, 공간이용과 지향성을 결정하는데 지각이 중요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2.평가적 접근 인간의 공간행태는 의사결정 이전에 환경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진다. 이 평가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며 환경에 대한 평가를 통해 공간인식을 확인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평가는 사회화, 경험과 행동의 목적을 바탕으로 지식, 인식능력의 한계, 선택의 제한성 등으로부터 자신의 이미지에 근거를 두고 이루어짐으로써 개인의 행태는 준 최적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진다.
3.선호적 접근방법. 인간의 공간행태는 목적의식에 따라 지역의 선호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지역의 선호도를 측정하면 공간에 대한 평가의 간접적 측정방법이 된다. Ruston은 선호도 개념을 이용하여 중심지 이용행태론을 연구하였는데 상품의 구매에 있어 중심지간의 선호도 측정에 「경제학의 현시선호이론」을 적용하였다. 현시선호이론은 종래의 효용이라는 주관적 개념을 기초로 하는 소비자 행동이론은 객관
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하고 시장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난 소비자의 선호도를 가지고 행동을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현시공간선호의 종류 ① 절대적 선호 :개인의 계층, 경제적 능력, 건강 등의 이유로 최적 중심지만 이동할 경우 ② 상대적 선호: 선택할 수 있는 중심지가 여러개인 경우. -명시적 선호 //잠재적 선호 그러나 이 모델은 선택하고 싶었지만 개인사정으로 선택하지 못한 경우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하지만 공간적 기회라는 개념을 통해 선택적·상대적 선호이론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