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고용정보원, 청년취업자의 첫 일자리 입직 소요기간 분석
청년 6895명 대상..청년 10명 3명 입직 2년 이상 걸려
전문대졸 이상 청년 입직 11~13개월..고졸 이하는 평균 35개월

사진=이미지투데이
졸업은 취업전쟁의 끝이 아닌 시작이다. 졸업후 첫 직장을 구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평균 19개월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편차가 컸다. 고졸 이하의 학력을 가진 청년이 첫 직장을 구하는 데까지 평균 35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청년들은 통상 11개월에서 13개월이 걸렸다.
          

                      
14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청년 취업자의 첫 일자리 입직 소요기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청년 취업자(만 15세부터 29세) 6895명 중 57.9%가 1년 미만, 13.9%는 1~2년 미만 기간에 첫 직장을 구했다. 2~4년 미만은 15.4%, 4년 이상은 전체의 12.9%였다. 청년 10명 중 3명(28.3%)은 직장을 구하는 데 2년 이상이 걸렸다. 전체 청년층의 평균 입직 소요 기간은 19개월이었다.

학력별로 전문대졸과 대졸 이상의 청년은 입직까지 각 13개월, 11개월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졸 이하 학력을 가진 청년의 경우 직장을 구하는 데 평균 35개월이 걸려 전문대졸 이상 학력의 청년보다 3배가량 차이가 났다.

특히 고졸 이하 청년 절반 이상(54.0%)이 졸업 이후 첫 일자리 진입까지 2년 이상 걸렸다. 고졸 이하 청년이 1년 내 직장을 구하는 비중은 전체 29.4%에 그쳤다. 1년 내 입직에 약 70%가 성공하는 전문대졸 이상 학력의 청년과 비교했을 때 학력에 따른 입직 소요기간의 편차가 크다는 분석이다.

성별로는 남성의 평균 입직 소요 기간은 21개월, 여성은 16개월로 여성이 5개월가량 짧았다. 남성의 경우 고졸 이하 평균 입직 소요 기간은 37개월이었다. 전문대졸과 대졸 이상은 각각 15개월, 11개월이었다. 여성 역시 고졸 이하 학력층은 입직에 31개월이 걸렸다. 다만 여성 전문대졸과 대졸 이상은 각각 11개월, 12개월 수준이어서 남성보다 약간 짧았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비교적 안정적 일자리인 상용직 입직의 경우 평균 17개월, 임시·일용직은 22개월이 소요됐다. 1년 내 취업한 비중은 상용직 62.7%, 임시·일용직 48.7%였다.

산업별 입직 소요기간을 보면 건설업(22개월)이 가장 길었고,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17개월)이 가장 짧았다. 직업별로는 건설·채굴직·설치·정비·생산·농림어업직이 23개월로 가장 긴 반면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은 11개월로 최단 기간을 기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황광훈 고용정보원 지역일자리팀 책임연구원은 “임시·일용직으로 첫 일자리를 이행한 경우 자신이 희망하거나 노동시장에 안착하기 위한 일자리의 형태가 아닐 가능성이 크다”며 “학교 졸업 후 대기업, 상용직 등 고용안정과 고임금이 보장된 1차 노동시장으로 진입을 시도한 청년층 중 상당수가 진입에 실패하고 임시·일용직 일자리로 입직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황 연구원은 이어 “임시·일용직 상태로 첫 일자리에 이행한 청년층의 경우 상당수가 고임금, 상용직 등 일자리의 질이 높은 곳으로 지속적인 이직 시도가 있을 것”이라며 “고졸 이하 저학력층과 스펙 준비를 하는 청년층이 짧은 시간 내 노동시장에 진입해 일자리에 안착할 수 있도록 고용서비스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이데일리, 2021년 06월 15일)

Who's 지리임닷컴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경기과학고, 의대에 지원한 졸업생들 장학금 전액 회수 지리임닷컴 2021.11.14 127
61 [2022학년도 대입 전략] 서울대·성균관대·서강대 등 문이과 모두 수학 40% 이상 반영 지리임닷컴 2021.10.27 164
60 부산대 합격생 83%, 경북대 합격생 86% 입학 포기..위기의 '지거국' 지리임닷컴 2021.10.18 172
59 "마스크 내리고 얼굴 보여주세요" 거부하면 수능 무효 지리임닷컴 2021.10.13 160
58 의대 연세대·치대 서울대·한의대 상지대가 작년 '정시 합격선' 1위 지리임닷컴 2021.10.06 232
57 고2부터 지방 의·약대 40% 지역학생으로 '의무 선발' 1 지리임닷컴 2021.09.14 162
56 20대가 9급 공무원이 되기 위해 1년간 기울인 노력 수준 지리임닷컴 2021.09.05 171
55 고1 대학 갈 땐 '자기소개서' 폐지..수상실적도 반영 안 해 지리임닷컴 2021.08.25 160
54 15년째 동결된 수능 응시료…"폐지해야" 주장도 나온다! 공무원 시험 보다 4배 비싼 '수능 응시료'.."폐지해야" 지리임닷컴 2021.08.20 151
53 학점 2.7 지방대생.. 줄줄이 실패 후 끝내 찾은 평생 직업 지리임닷컴 2021.08.17 1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