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03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사 담당자들 "외국어 능력 뛰어나면 금상첨화", 은행권 하반기 정규직 채용 1천500명 넘을 듯

우리은행을 필두로 시중은행들이 잇따라 올 하반기 공채를 준비하고 있다.
올 하반기엔 은행들이 작년보다 채용 인원을 대체로 늘릴 예정이어서 은행취업 준비생들의 숨통이 조금은 트일 전망이다.
낮게는 60대 1에서 높게는 100대 1 이상의 경쟁률을 뚫어야 하는 취업전쟁에서 성공할 수 있는 비법은 무엇일까?
시중은행 인사담당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스펙보다는 인성과 태도가 당락을 좌우하는 요소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외국어 능력이 뛰어나면 금상첨화라고 했다.
25일 은행권에 따르면 채용 규모가 확정된 곳은 우리은행과 국민은행 정도다.
지난 7일 사무지원직군 40명을 뽑는 전형에 들어간 우리은행은 24일부터 일반직군 신입행원 200명을 선발하는 절차에 돌입했다.
하반기 공채를 포함해 우리은행의 올해 정규직 신입사원 채용인원은 이로써 모두 470명이 된다.
이는 376명을 뽑은 지난해에 견줘 25.0% 증가한 수치다.
국민은행도 24일부터 일반직 신입사원(L1) 350명을 뽑는 절차를 시작했다.
국민은행의 L1 채용 규모는 상반기 120명을 포함해 올해 470명 규모다. 이는 작년 290명 수준에 비하면 62.0% 늘어난 수치다.
신한은행은 이르면 11월쯤 230명의 정규직 신입행원을 선발할 예정이다.
농협은행도 오는 11월 말~12월 초에 채용 공고를 낼 예정이다. 140명을 뽑았던 작년 수준 이상은 채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규직 공채와는 별도로 지역에서 근무하는 행원들을 뽑는 '지역인재 채용' 과정도 12월 중 시작할 계획이다.
농협은행은 지역인재 채용으로 올해 초 250명을 뽑은 바 있다.
내달 1일 출범하는 KEB하나은행도 하반기 공채를 준비하고 있다.
작년 공채인원(118명)보다 많은 규모로 채용을 검토 중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대졸 정규직 54명을 뽑은 수출입은행은 다음 달 공채를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로 정규직 인원을 뽑을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은행은 이달 31일 정규직 채용 공고를 낼 예정이다. 올해 200명 안팎을 뽑을 것으로 전망된다.
모집 대상은 일반·정보기술(IT) 분야다. 일반 분야 중 일부는 지역인재로 선발되며 이들은 5년간 의무 근무를 해야한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을 아우르는 BNK금융은 370명가량을, 대구은행은 50명 정도를 올 하반기에 선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 인사분야를 총괄하는 HR본부 유점승 부행장은 "은행원은 고객에게 신뢰를 줘야 하기에 은행원은 정직한 품성을 갖춰야 한다"며 "여기에 외국어 능력까지 갖추면 더욱 좋다"고 말했다.(아시아타임즈, 2016년 6월 11일)

Who's 지리임닷컴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

  • profile
    지리임닷컴 2016.06.11 19:22

    뽑고 싶은 신입사원, 스펙보다 태도 인성부터 본다!

    우리은행을 필두로 시중은행들이 잇따라 올 하반기 공채를 준비하고 있다.
    올 하반기엔 은행들이 작년보다 채용 인원을 대체로 늘릴 예정이어서 은행취업 준비생들의 숨통이 조금은 트일 전망이다.
    낮게는 60대 1에서 높게는 100대 1 이상의 경쟁률을 뚫어야 하는 취업전쟁에서 성공할 수 있는 비법은 무엇일까?
    시중은행 인사담당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스펙보다는 인성과 태도가 당락을 좌우하는 요소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외국어 능력이 뛰어나면 금상첨화라고 했다.
    25일 은행권에 따르면 채용 규모가 확정된 곳은 우리은행과 국민은행 정도다.
    지난 7일 사무지원직군 40명을 뽑는 전형에 들어간 우리은행은 24일부터 일반직군 신입행원 200명을 선발하는 절차에 돌입했다.
    하반기 공채를 포함해 우리은행의 올해 정규직 신입사원 채용인원은 이로써 모두 470명이 된다.
    이는 376명을 뽑은 지난해에 견줘 25.0% 증가한 수치다.
    국민은행도 24일부터 일반직 신입사원(L1) 350명을 뽑는 절차를 시작했다.
    국민은행의 L1 채용 규모는 상반기 120명을 포함해 올해 470명 규모다. 이는 작년 290명 수준에 비하면 62.0% 늘어난 수치다.
    신한은행은 이르면 11월쯤 230명의 정규직 신입행원을 선발할 예정이다.
    농협은행도 오는 11월 말~12월 초에 채용 공고를 낼 예정이다. 140명을 뽑았던 작년 수준 이상은 채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규직 공채와는 별도로 지역에서 근무하는 행원들을 뽑는 '지역인재 채용' 과정도 12월 중 시작할 계획이다.
    농협은행은 지역인재 채용으로 올해 초 250명을 뽑은 바 있다.
    내달 1일 출범하는 KEB하나은행도 하반기 공채를 준비하고 있다.
    작년 공채인원(118명)보다 많은 규모로 채용을 검토 중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대졸 정규직 54명을 뽑은 수출입은행은 다음 달 공채를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로 정규직 인원을 뽑을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은행은 이달 31일 정규직 채용 공고를 낼 예정이다. 올해 200명 안팎을 뽑을 것으로 전망된다.
    모집 대상은 일반·정보기술(IT) 분야다. 일반 분야 중 일부는 지역인재로 선발되며 이들은 5년간 의무 근무를 해야한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을 아우르는 BNK금융은 370명가량을, 대구은행은 50명 정도를 올 하반기에 선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 인사분야를 총괄하는 HR본부 유점승 부행장은 "은행원은 고객에게 신뢰를 줘야 하기에 은행원은 정직한 품성을 갖춰야 한다"며 "여기에 외국어 능력까지 갖추면 더욱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