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생기부에 교내 수상경력 학기당 1개, 자율동아리는 연간 1개 기록 가능
2022학년도 주요 대학 입시에서 핵심은 정시 확대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 선발을 40% 이상으로 확대해야 하는 교육부 권고에 맞추기 위해 상당수 주요대가 2022학년도부터 정시를 크게 확대한다. 연세대와 고려대는 2022학년도부터 정시 중 수능위주가 전체 선발에서 40%를 넘겼다. 이와 함께 수시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까지 감안하면 2022학년도는 수능의 영향력이 그 어느 해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세대·고려대 등 수능위주 40% 선발 2022학년도부터 조기 적용

[2022학년 대입 전략] 2022학년도 주요 15개 대학 수능반영 선발 평균 66.4%

[2022학년 대입 전략] 2022학년도 주요 15개 대학 수능반영 선발 평균 66.4%


전형계획안 기준으로 2022학년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SKY의 정시선발은 정원내외로 총 4360명에 달한다. 이 중 수능성적이 중요한 수능위주 선발은 4223명이다. 최근 12년 만에 최대 규모다. 고려대의 수능위주 인원이 1678명(40.1%)으로 가장 많고, 연세대가 1512명(40.1%), 서울대가 1029명(30.1%)을 선발할 예정이다. 2021학년도 대비 1582명이 늘어난다. 서울대도 2023학년도엔 수능위주 선발을 40% 이상으로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수능위주 선발이 늘면서 정시 전체 선발 규모도 커졌다. 수능위주와 실기 등을 합해 정시 전체 선발비중은 주요 15개 대학 중 연세대가 44.1%(1635명)로 가장 높다. 그 다음으로 한양대 43.8%(1375명), 서울시립대 43.5%(786명), 한국외대 42.8%(756명), 경희대 42.2%(국제 포함 2203명) 순이다. 수시에서 뽑지 못해 정시로 이월하는 수시이월까지 감안하면 실제 최종 정시비중은 50%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수능성적 평가 반영 평균 66.4%에 달해, 수능성적 매우 중요
수능은 정시 수능위주 전형뿐 아니라 수시에서도 수능 최저학력기준 형태로 평가에 활용된다. 예컨대 2022학년도 서울대 지역균형은 수능 국어, 수학, 영어, 탐구(2) 4개 영역에서 3개 영역 이상 각각 2등급 이내를 요구한다. 주요대의 수시 수능최저는 이처럼 과목별로 1~2등급 수준으로 높은 편이다.

이와 같은 수능최저 적용과 정시를 합해 보면 2022학년도 주요 15개 대학에서 수능성적을 반영해 선발하는 규모는 평균 66.4%에 달한다. 홍익대는 이 비율이 무려 89.1%에 달한다. 2022학년도 홍익대에 합격하는 학생 중 열에 아홉은 수능성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희대는 수능이 반영되는 비율이 84.6%에 이르고, 그 다음으로 고려대 83.2%, 이화여대 80.6%, 한국외대 71.8%, 건국대 64.0% 순으로 수능 반영비율이 높다. 한편, 주요대 모두 자연계열 학과는 올해 선택형 수능에서 수학은 미적분 또는 기하를, 탐구는 과학 2과목을 지정해 반영한다.
논술, 서울대·고려대 제외하고 주요대에서 모두 선발
올해 주요 15개 대학에서 논술전형으로는 총 4394명을 선발한다. 대학별로 총 선발 규모의 4.3%(서울시립대)에서 17.7%(한국외대)에 이른다. 15개 대학 중엔 서울대와 고려대를 제외한 13개 대학이 논술전형을 실시한다.
,(한국경제뉴스, 2021년 01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