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향후 인구 감소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내놓은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 지역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 소속 16개 시군구 중 9곳(56.3%)이 인구 감소 위험 지역으로 분류돼 전국 시도 중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방행정연구원은 △2015~2040년 각 시군구 인구 변화 △젊은 가임 여성 인구 변화 △고령 인구 변화 등 3가지 지표를 토대로 인구 감소 추세를 분석했다. 이어 전국 시군구를 인구 감소 위험성이 높은 순서대로 25%씩 위험-신중 검토-검토-안정 순으로 구분한 결과, 부산에 이어 경남(38.9%), 충북(36.4%), 경북(34.8%), 강원·충남(33.3%) 등 순으로 인구 감소 위험 시군구 비중이 높았다. 대전·울산·세종·제주는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시군구가 한 곳도 없었다.
인구 감소 위험이 적은 '안정 지역'으로 꼽힌 시군구 비율은 울산이 80%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58.1%, 대전 40% 순이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비교하면 수도권 시군구 66곳 중 인구 감소 위험 지역은 7곳으로 10.6%에 그쳤다.(조선일보, 2022년 01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