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하는 노인들의 공통점은 잘 먹고, 늘 움직이고, 많이 어울리는 겁니다.
특히 대인 접촉이 중요한데요.
친구와 잘 만나지 않으면 "노쇠 증후군"에 걸릴 위험,
즉 노화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질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집에 있으면 답답하고 아픈 데만 늘어나지만
친구 만나 밝게 웃고 떠들다 보면 갑갑함이 플리고 통증도
줄어든다고 합니다.
아주대 병원에서 70살 이상 노인 1,2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친구를 만나지 않을수록 노화 속도가 빨라질 위험이 컸습니다.
일주일에 한 번 친구를 만나는 노인은 매일 만나는 노인보다 노쇠 증후군 발생 위험이 11% 높았고, 한 달에 한 번 만나는 노인은 5배나 높았습니다.
노쇠 증후군이 나타나면 노화 속도가 병적으로 빨라집니다. 근력이 떨어져 걷는 속도가 줄고,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친구분들을 많이 만나시거나 사회활동을 하시게 되면 정서적으로 지지를 받음으로써, 우울증 발생이라든지 영양실조를 예방할 수 있고요. 결국에 이런 걸 통해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고 "김광준 세브란스 병원 노년내과 교수"는 말합니다.
가족과 이웃, 친구 중 친구와 자주 만나는 게 노쇠 증후군 예방 효과가 가장 컸습니다. 유대감을 잘 만들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대인 접촉이 뇌에 가장 큰 자극이기 때문에, 사회활동에 적극 참여해 어울리면 노화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자료출처 : KBS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