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7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권력, 성취욕 강해 더 많이 대화

여자가 말이 많다는 속설과 달리 실제로는 남자가 더 수다쟁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크루스캠퍼스 연구팀은 1960년부터 2005년까지 1000명 이상이 참가한 149건의 정신건강 연구를 분석했다.

연구팀이 남성끼리, 여성끼리 혹은 남녀가 섞여 대화할 때의 대화 시간과 단어수를 조사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말을 많이 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사회적 역할에 따른 남녀의 대화유형도 분석했는데 남자는 사회적인 결정의 순간, 여자는 자신 또는 육아 문제에 대해 말을 많이 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전통적으로 남자는 사회활동을 하고 여성은 가정생활을 해 남녀에게 주어진 역할이 달라 이 같은 대화유형이 나타났다고 풀이했다. 연구팀의 캠벨 리퍼 박사는 “사회적 책임을 맡아온 남자들은 권력욕과 성취욕이 강해서 새로운 사람과 더 많이 대화하고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욕구가 컸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여자보다 말이 많았다”며 “여자는 대화를 통해 감정을 전달하고 편안함을 느끼는 것을 중요하게 여겨 수다스럽다고 알려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두 남자, 두 여자, 남자와 여자의 대화유형을 비교해 남자와 여자가 함께 대화할 때 대화 양이 가장 많았고 특히 남자가 더 많은 말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남자와 여자가 하루 동안 사용하는 단어 수는 비슷했는데 대화 시간은 오히려 남자가 긴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리퍼 박사는 “최근 여자의 사회진출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남자는 더욱 감성적으로 변하고 사회 영향력도 점차 감소하고 있어 과거에 비해 말 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코미디닷컴, 2015년 12월 11일)

Who's 지리임닷컴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

Atachment
첨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