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 바이러스나 알코올 등에 의한 간손상이 지속되면 간세포가 파괴되고 간수치가 올라간다. 이에 따라 점차 간이 굳어가는 간경화(간경변)가 발생하게 된다. 간은 한번 간경화가 발생하면 다시 원래의 정상 상태로 돌리기 어렵다. 알코올의 독성물질 중 80%는 간에서 처리되어야 하는데 간이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넘어설 경우 지방간, 간경변, 간암 등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간질환은 상당히 진행되기 전에는 자각증상이 없다는 것이 특징인데, 만약 음주로 인해 간이 손상되는 경우 간 손상이 80% 이상 발생해도 특별한 자각증상이 없다. 회복이 어려울 정도로 상태가 악화된 후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임형준 교수는 “간의 건강은 나빠진 후에 되돌리기는 어려우므로 미리 건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며 “만성 간질환자의 경우 철저한 금주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의 경우 음주 시 좋은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설명했다.
요즘 같은 연말에는 잦은 송년회에 참석하다 보면 연이은 음주로 자칫 간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그렇다고 모든 모임을 피할 수도 없으니 철저한 일정관리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간이 회복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 없이 지나친 음주가 이어지면, 급성 간질환이 나타나 간이 손상받기 시작하고 이러한 손상이 누적되면 결국 급성 간염, 지방간 등이 발병하게 된다.
만성적으로 지방간이나 간염 등의 만성 간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더욱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진다. 연말연시 모임을 건강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술을 마시기 전 몇 가지 원칙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음주 전에는 먼저 간단히 식사를 하여 속을 채우는 것이 좋다. 술자리에 앉아서 바로 술을 들이키면 위장관내에서 알코올의 흡수율이 높아져 일찍 취하게 되므로 삼간다. 안주는 저지방 고단백 안주를 곁들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음식이 술의 흡수를 늦추고 뇌와 신경세포에 도달하는 알코올의 양을 줄이기 때문이다. 또 술자리에서 물을 자주 마시고 이야기를 많이 하게 되면, 술 먹는 간격을 늘이고 알코올을 희석시켜 흡수를 늦출 수 있다.
체중 60kg인 성인 남성의 경우 하루에 대사할 수 있는 알코올 양은 하루 80g 이내라고 알려져 있다. 이를 술 종류에 따라 환산해 보면 소주는 한 병, 맥주는 2000cc, 포도주는 750ml 기준으로 1병, 양주는 약 200ml 정도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자신의 몸무게에 맞추어 음주량을 결정하는 것이 간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음주 후에는 간이 충분히 회복할 수 있도록 휴식을 취하고 일주일에 2회 이상 마시지 않는 것이 조금이라도 피로와 숙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중앙일보, 2019년 12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