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잠 설친다면? 3大 수면질환 의심

by 지리임닷컴 posted Jul 09,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밤잠을 설치게 하는 대표적인 수면장애로 하지불안증후군, 야간 빈뇨, 수면무호흡증이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우리는 인생의 3분의 1을 자면서 보낸다. 취침 중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 단순히 피로감을 느끼는 것뿐 아니라 고혈압, 비만, 심혈관질환 등 각종 전신질환을 겪을 위험이 높아진다. 자꾸 잠을 설친다면 수면을 방해하는 3가지 주요질환에 해당하지 않는지 살펴봐야 한다.

◇​다리 감각 이상하다면 '하지불안증후군'

하지불안증후군은 잠자리에 들 때 다리에 감각 이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다리가 저리거나 쑤시는 느낌, 벌레가 기어 다니는 느낌, 전류가 흐르는 느낌이 주로 든다. 이런 불쾌한 증상은 다리를 움직여야만 사라져 숙면을 방해할 뿐 아니라 만성화되기 쉽다. 단순 불면증이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손발 저림으로 생각해 치료받지 않고 방치하거나 엉뚱한 치료를 받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다리에 불쾌감이 들어 어쩔 수 없이 다리를 움직이려는 강한 충동이 들고 ▲​누워 있거나 앉아 있을 때 증상이 시작되거나 악화되고 ▲​걷거나 다리를 뻗으면 증상이 완화되고 ▲​저녁이나 밤 시간에 증상이 심해지면 하지불안증후군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화장실 가고 싶어 잠 깬다면 '야간 빈뇨'

수면 중 자주 소변이 마려워 깬다면 야간 빈뇨를 의심한다. 야간 빈뇨는 60세 이상 노인의 약 70%에서 발생할 만큼 흔하다. 최근에는 스트레스, 면역력 약화, 호르몬 변화 등으로 인해 40~50대 여성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원인에 따라 '다뇨' '야간 다뇨' '방광 저장 기능 이상'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다뇨는 하루에 소변이 2500cc 이상 생성되는 것, 야간 다뇨는 수면 중 소변 생성이 과도하게 이뤄지는 것이다. 방광 저장 기능 이상은 야간에 방광 용적이 감소해 소변을 자주 보는 것으로, 과민성 방광·방광염 등 여러 질환이 동반될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 저녁에 수분 섭취를 삼가고, 카페인과 음주, 흡연을 피하는 것만으로도 야간 빈뇨를 완화할 수 있다. 자신의 배뇨 횟수를 확인해 하루 9회 이상 혹은 잠에서 깨 2회 이상 소변을 보면 병원에서 상담을 받아봐야 한다.

◇​코골이 유독 심하다면 '수면무호흡증'

심한 코골이가 지속되면 수면무호흡으로까지 악화될 수 있다. 수면무호흡은 수면 중 기도가 반복적으로 폐쇄돼 혈중 산소 포화도가 떨어지는 질환이다. 치료받지 않으면 고혈압, 당뇨병, 심근경색, 성기능부전, 뇌졸중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은 방치 기간이 오래될수록 치료가 어렵다. 성인에서는 양압기 치료, 소아에서는 아데노이드 편도수술을 일차적으로 고려한다. 악안면 골격구조 및 구강구조의 이상으로 인한 기도 협착으로 진단되는 경우에는 치과교정학적 골격구조 개선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헬스조선, 2021년 07월 09일)

Who's 지리임닷컴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