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7000보 이상 걸으면 조기 사망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 애머스트·앨라배마대학 버밍햄캠퍼스 등 공동 연구팀은 평균 연령이 45.2세인 21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수면·수중 활동 시간을 제외한 연속 7일 내내 걸음 수를 측정하는 장치를 엉덩이에 착용했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을 하루 걸음 수에 따라 ▲7000보 미만 ▲7000보 이상 1만 보 미만 ▲1만 보 이상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어 설문지를 통해 참가자들의 건강 상태를 조사하고 공복 혈당, 혈압, 총콜레스테롤을 측정했다.
참가자들을 평균 10.8년 동안 추적한 결과, 하루 최소 7000보를 걷는 사람은 7000보 미만 걷는 사람보다 사망 위험이 50~70% 낮았다. 7000보 미만 그룹은 7000보 이상 걷는 그룹들보다 체질량지수(BMI)가 높았고, 스스로 평가한 건강 점수가 낮았다. 또한, 고혈압과 당뇨병 유병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걸음 강도나 분당 걸음 수가 사망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1만 보 이상 걷기가 사망 위험을 더 낮추지도 않았다고 설명했다.
연구의 저자인 아만다 팔루치 조교수는 "매일 7000보 걷기는 이를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훌륭한 목표가 될 것"이라며 "약 1만 보 미만으로 많이 걸을수록 사망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헬스조선, 2021년 09월 09일)
하루에 ‘7,000보’, 조기사망률 줄인다!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원한다면 운동은 필수이다. 운동 중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것은 걷기 운동이다. 걷기의 효과는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연구에 따르면 걷기는 체중 감량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장수에도 도움이 된다. 그렇다면 하루에 얼마나 걷는 것이 좋을까?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하루에 약 7,000보 이상을 걷는 사람은 조기에 사망할 위험이 감소한다.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애머스트캠퍼스(University of Massachusetts-Amherst) 신체운동학(Kinesiology) 조교수 아만다 팔루치(Amanda Paluch) 교수 연구팀은 38~50세인 참가자 2,110명을 대상으로 걷는 양과 걷는 속도, 조기사망률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하루 걷는 양에 따라 크게 7,000보 미만으로 걷는 그룹, 7,000~9,999보를 걷는 그룹, 10,000보 이상 걷는 그룹으로 나눴다. 평균 10.8년 동안 추적한 결과, 참가자 중 72명이 사망했다.
다변수 조정후 데이터를 분석한 후, 연구팀은 하루 7,000보 미만으로 걷는 사람과 비교했을 때 하루 7,000~9,999보를 걷는 사람은 조기에 사망할 위험이 72%, 하루 10,000보 이상으로 걷는 조기에 사망할 위험이 55% 감소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보행 강도, 분당 걸음 수와 조기 사망률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보행 강도, 분당 걸음 수와 조기사망률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은 없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3일(현지시간) 미국의사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게재되었다.
◇ 올바른 걷기 자세는?
양손에 달걀을 쥐고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팔꿈치를 90도로 구부린 후 팔을 앞뒤로 많이 흔들며, 시선은 정면의 15도 위를 바라보는 것이 좋다. 또한, 허리는 꼿꼿이 세우고, 보폭은 조금 넓게 하여 걸을 때 엉덩이 부분이 수축되는 것을 느껴야 한다. 발이 지면에 닿을 때에는 발뒤꿈치부터 닿게 한 후 발바닥, 앞꿈치 순으로 착지하는 것이 올바른 걷기 자세다.
[출처] :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633094 | 하이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