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지도 南海縣(그림)은 전라도 56개 고을을 제외한 함경도(23장), 평안도(42장),강원도(27장), 황해도(23장), 경기도(33장), 충청도(54장), 경상도(71장)의 고을이 순서대로 1책에서 7책으로 묶여있는 필사본 방안식 지도책이다.
3책의 강원도와 7책의 경상도 목차 부분에 비변사라는 도장이 찍혀 있어, 비변사에서 보관하며 사용하던 지도였음을 알 수 있다. 5책의 경기도 지도에는 연천․가평․양주․포천․영평 등 5개 고을이 누락되어 있다.
지도는 20리(4.2㎝)의 방안위에 그려져 있고, 이 방안은 축척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국 모든 고을이 동일한 축척 아래 그려져 있는 보기 드문 지도책이다. 따라서 지도에 표현된 고을의 크기는 실제 면적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고을 모양이나 질 정보의 위치 역시 전통적인 지도책에서는 가장 정확한 내용을 보여주고 있는 지도책이기도 하다. 지리 정보의 정확성만을 목표로 한 지도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군현지도에서 나타나는 주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지도책의 세로-가로 크기는 50㎝-38㎝ 정도이다. 대부분의 고을은 이 크기 안에 그려 넣었으며, 그렇게 할 수 없는 경우만 더 큰 종이 위에 그렸다. 1책의 함경도에서는 함흥․온성이 71.5㎝-77㎝, 영흥․안변․명천이 50㎝-76㎝, 경성․삼수가 62.5㎝-77㎝, 갑산이 78㎝-94㎝, 무산이 74.5㎝-77.5㎝이다. 2책의 평안도에서는 평양․희천․영변․의주․삭주․창성․영원이 50㎝-76㎝이고, 강계는 폐사군을 포함하기 때문에 77.5㎝-117.5㎝로 이 지도책에서 가장 크다. 3책의 강원도에서는 50㎝-76㎝인 것이 원주․홍천․춘천․이천․회양․강릉․울릉도의 지도이다. 이 밖에 제6책의 충청도에서는 청주․충주․홍주만이, 7책의 경상도에서는 안동만이 50㎝-76㎝이다. 지도의 표현 양식은 모든 지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중앙에서 일률적인 방식으로 편집하여 그렸음을 알 수 있다. 동일한 정보는 동일한 기호로 표시하는 범례도 고을의 읍치와 감영․병영․수영, 종6품의 찰방이 파견된 찰방역, 군사시설인 진보와 봉수, 세곡의 저장과 운반을 위한 창고 등의 7개 부분에서 모든 지도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 고을의 읍치는 붉은색의 큰 동그라미로 표시하였으며, 성곽이 있는 경우는 검은색 테두리의 원을 하나 더 그려 넣었다. 각 고을의 감영은 붉은색의 정사각형으로 표시하였으며, 성곽이 있는 경우에는 파란색 테두리의 사각형을 하나 더 그려 넣었다. 찰방이 파견된 찰방역의 경우는 붉은색의 작은 동그라미로 표시하여, 고을의 읍치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군사시설인 진보는 푸른색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통일하였다. 지리 정보의 정확성만을 목표로 한 지도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군현지도에서 나타나는 주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또한 청구도와 대동여지도에서 독특하게 기재된 지명과 일치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전국을 하나의 지도로 표기한 20리 방안지도이며 남해는 가로 5개, 세로 5개 방안에 걸쳐 그려져 있다. 어느 특정 지역이나 사상에 초점을 맞춘 모식적 인상은 매우 약하고, 땅의 전체 윤곽이 현대지도에 가까운 것이 특징이다. 산지는 청구도와 비슷하게 줄기로 나타냈지만, 전체가 하나로 이어져 있는 것은 아니고 어떤 것들은 부분적으로 고립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다. 녹두산․망운산․소흘산․금산은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하천은 표시되지 않았다. 읍치 북쪽에 있는 露粱과 그 아래에 보이는 忠烈祠는 1633년에 세운 사당으로 이순신을 배향하고, 1663년(현종 4)에 사액되었다. 지금의 남해군은 남해군 창선면을 제외한 남해읍, 이동면, 삼동면, 남면, 서면, 고현면, 설천면 등 남해군 전체에 해당되며 읍치는 남해읍 서변리에 일대에 있었다. 읍치 북쪽에 있는 望雲山 (786m)이 鎭山이다.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이 빈번했던 남해도는 성곽 터가 많이 남아있는데 그 중 읍치 북쪽에 있는 古城(또는 古縣山城)과 官堂城은 石築으로 그 둘레가 각각 1천 7백 40척과 7백 20척이다. 그 외 바다에 접하여 있는 平山浦鎭, 彌助項鎭 등은 모두 海岸防禦를 위한 鎭들이다. 내륙에는 산지에 원산봉수․소흘산봉수․금산봉수가 위치한다. 지도에 처음으로 창선이 나타나지 않는다. 하천, 도로, 건조물이 보인다. 주요 간선도로가 빨간색으로 노량에서 미조까지 지도에 크게 표시된다. 지도에 표기된 지명은 고성(古城) 고현면(古縣面) 관당(官堂) 금산봉(錦山峯) 난진(蘭津) 남면(南面) 노(도)(櫓(島)) 노량진(露梁津) 녹도(鹿島) 녹두산(鹿頭山) 덕신역(德新驛) 동천곶(凍川串) 망운산(望雲山) 미조(도)(彌助(島)) 미조항(彌助項) 비자도(榧子島) 삼동면(三東面) 서면(西面) 설천면(雪天面) 성현(城峴) 소흘산봉(所屹山烽) 왕봉(王峯) 외산봉(猿山烽) 외창(外倉) 우고현(牛古峴) 이동면(二東面) 조도(鳥島) 조창(漕倉) 지족진(只族津)창(倉) 충열사(忠烈祠) 평산포(平山浦) 등 31개 지명이다. 남해와 창선을 제외한 5개 섬(노(도)(櫓(島)) 녹도(鹿島) 미조(도)(彌助(島)) 비자도(榧子島) 조도(鳥島))이 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