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와 전라도 중·북부 합하여 그린 17·18층 복층구조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임원선)은 최근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11첩의 필사본 ‘대동여지도’의 일부를 수집하였다. 이 지도는 일반인들이
알고 있는 22첩으로 구성된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17층과 18층(경상도와 전라도의 중·북부)을 합하여 그린 구조다. 세로×가로의 크기가
60×215센티미터
(cm)의 대형으로 표지에는 ‘大東輿地圖(대동여지도)’라는 이름 옆에 작은 글씨로 ‘二(이)’가 적혀 있다.
일반인들이 알고 있는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1861년에 제작된 22첩의 목판본이다. 하지만 김정호는 1850년대에 14첩의 필사본 ‘대동여지도’, 18첩의 필사본 ‘대동여지도’, 23첩의 필사본 ‘동여도’(대동여지도의 줄임말)를 제작하는 등 완성본이 나오기까지 다양한 형식과 내용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실험하였다. 이를 토대로 만들어진 최종본이 1861년에 제작된 22첩의 목판본 ‘대동여지도’이다.
한편 김정호가 1834년에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던 ‘청구도’(2책)도 이후 1849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개정판을 만들었음이 밝혀졌다. 김정호는 자신이 원하는 지도의 내용과 형식을 완성하기까지 지속적인 실험과 개정을 계속해 나갔던 주도면밀한 지도학자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이번에 수집된 11첩의 필사본 ‘대동여지도’의 일부도 김정호가 22첩의 목판본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기 전에 실험적으로 만들었던 작
품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 학계의 면밀한 연구를 통해 김정호와 그의 지도 제작에 대한 새로운 모습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임원선)은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11첩 필사본의 대동여지도 일부를 최근 수집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지도는 세로×가로 각 60×215㎝인 대형으로, 전체 22첩인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17층과 18층(경상도와 전라도의 중·북부)을 합해 그린 구조다.
표지에는 '大東輿地圖'(대동여지도)라는 이름 옆에 작은 글씨로 '二'(이)라는 글자를 적었다.
보통 대동여지도라고 하면 1861년에 제작된 22첩의 목판본이다.
하지만 김정호는 그 완성에 앞서 1850년대에 14첩 필사본, 18첩 필사본 대동여지도, 23첩 필사본 동여도를 제작했다.
이를 토대로 만든 최종본이 1861년 목판본 대동여지도다.
도서관은 "따라서 이번에 수집한 11첩 필사본 대동여지도 일부도 김정호가 22첩 목판본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기 전에 실험적으로 만든 작품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앞으로 학계의 면밀한 연구를 통해 김정호와 그의 지도 제작에 대한 새로운 모습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연합뉴스, 8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