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2종, 일본에 3종이 알려져 있고, 仁村紀念館에 소장되어 있는 지도는 세로 178㎝, 가로 168㎝의 대형지도이며 2폭 가리개로 되어 있다.
서남 아시아와 아프리카, 유럽을 제외한 명나라의 版圖에 한정시킨 楊子器의 大明國地圖에 우리나라와 일본을 보충한 지도이다. 양자기의 대명국지도는 명대 대표적인 중국의 천하도로 사료되며 嘉靖 5년이라는 刊記가 있다. 용곡대 소장의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는 원대에 들어온 지도로 추정되는 아라비아 계통의 聲敎廣被圖를 바탕으로 한 것과 좋은 대조가 된다.
서남 아시아와 아프리카, 유럽을 제외한 명나라의 版圖에 한정시킨 楊子器의 大明國地圖에 우리나라와 일본을 보충한 지도이다. 양자기의 대명국지도는 명대 대표적인 중국의 천하도로 사료되며 嘉靖 5년이라는 刊記가 있다. 용곡대 소장의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는 원대에 들어온 지도로 추정되는 아라비아 계통의 聲敎廣被圖를 바탕으로 한 것과 좋은 대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