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회인(Ferdinand Ferviest, 1623~1688)도 마테오 리치와 알레니를 따라 선교의 수단으로 곤여전도를 1674년에 발간하였다. 마테오 리치와 알레니의 세계지도는 모두 타원 도법의 세계지도인데 곤여전도는 동반구와 서반구도로 된 방위도법을 쓰고 있다. 리치는 곤여만국전도에서 지도와 지지를 대형지도 속에 모두 포함시키고 있고, 알레니는 지도와 지지를 지리서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남회인은 지도와 지지를 분리하여 지도와 도설을 분리하여 출간하였다.
곤여전도는 지구를 두 개의 반구도로 그림으로써 지구가 구형임을 보여줄 수 있었다. 그뿐 아니라 그 동안의 탐험 성과를 반영시켜 신대륙의 해안선이 개선되었고 마테오리치와 알레니의 지도에는 없었던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이 남극대륙과 분리되어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곤여전도는 북경에서 간행 된지 180여년 후인 1856년에 아편전쟁의 근원 충격을 받은 후 서양을 알아야 한다는 중국인들의 각성을 촉구하는 의미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광동판 곤여전도는 출간된 지 4년 후인 1860년에 우리나라에서도 거의 같은 맥락에서 다시 복간되었다.
곤여전도는 지구를 두 개의 반구도로 그림으로써 지구가 구형임을 보여줄 수 있었다. 그뿐 아니라 그 동안의 탐험 성과를 반영시켜 신대륙의 해안선이 개선되었고 마테오리치와 알레니의 지도에는 없었던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이 남극대륙과 분리되어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곤여전도는 북경에서 간행 된지 180여년 후인 1856년에 아편전쟁의 근원 충격을 받은 후 서양을 알아야 한다는 중국인들의 각성을 촉구하는 의미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광동판 곤여전도는 출간된 지 4년 후인 1860년에 우리나라에서도 거의 같은 맥락에서 다시 복간되었다.
곤여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