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2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402년(태종 2) 5월 김사형(金士衡)·이무(李茂)·이회(李) 등이 작성한 세계지도. 5×4 ft. 이러한 사실은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의해 전해지며, 이 지도의 필사본이 일본 교토[京都]의 류코쿠[龍谷]대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양촌집》 권2의 ‘역대제왕 혼일강리도지(歷代帝王混一疆理圖誌)’와 그 밖의 사료(史料)에 의하면 이 지도는 1399년(정조 1) 김사형이 명(明)나라에서 가지고 온 원(元)나라의 이택민(李澤民)이 만든 ‘성교광피도(聲敎廣被圖)’(1330?)와 승려 청준(淸濬)의 ‘역대제왕 혼일강리도’(1328∼92)의 두 지도를 합하여 개정한 것이다. 이 두 지도에는 랴오둥[遼東]의 동쪽 부분이 많이 생략된 대신 거기에 조선을 그려 넣고, 1401년(태종 1) 박돈지(朴敦之)가 일본에서 가지고 온 새 일본지도에 이키섬[壹岐島]과 쓰시마섬[對馬島] 등을 보충하고 참고하여 일본을 그려 넣어, 그 전보다 완전한 세계지도를 작성하고 ‘혼일강리대국지도’라고 이름붙였다. 이 지도는 1328년에 주사본(朱思本)이 작성한 ‘여도(輿圖)’와 지명이 똑같은 점으로 미루어 그 당시의 지도들을 바탕으로 하여 작성한 것으로 본다. 이 지도에 나타난 서방(西方)에는 100여 개의 유럽 지명과 약 35개의 아프리카 지명이 포함되어 있으나 인도반도가 없고, 나일강 수원(水源)의 표현방법이, 특히 1267년에 베이징[北京]에 가지고 왔던 자말 알 딘의 지구의(地球儀)와 비슷하다는 점 등은 한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이슬람 과학의 영향을 받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조선시대의 학자들에 의하여 제작된 거의 유일한 세계지도로서 조선 전기의 세계지리학의 지식을 결산한 것이며, 17세기에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가 한국에 들어오기까지는 가장 훌륭하고, 사실상 유일한 세계지도였다. 이 지도의 큰 결점은 중화적(中華的) 세계관에 의하여 중국과 한국을 너무 크게 그려 넣음으로써 아시아 대륙은 물론 유럽 및 아프리카 대륙과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점이다. 혼일강리 역대국도지도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만든 지도로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지도이다. 지도 하단에 기록된 양촌 권근의 발문에 의하면 태종 2년(1402)에 좌정승 김사형, 우정승 이무와 이회가 만든 것으로 필사본들이 현재 일본에 전해지고 있다. 이 지도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일 뿐 아니라 동양에서도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로 평가받고 있다.  이 지도는 이택민의 성교광피도(聲敎廣被圖)와 천태승 청준의 역대제왕 혼일강리도를 중국에서 들여와 두 지도를 합쳐서 하나로 편집하고, 우리나라와 일본을 추가시켜 만든 세계지도이다.  조선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던 전통적인 중국의 세계 지도에는 중국과 주변 지역만 그려져 있을 뿐 유럽과 아프리카는 나타나 있지 않았다. 그런데 혼일강리 역대국도지도에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등 당시 알려진 세계가 모두 그려져 있다. 이 중 동남아시아, 인도, 이슬람은 교류가 있었고, 또 그 곳에 다녀온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그 지역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유럽과 아프리카는 교류도 없었고 가 본 사람도 없었는데도 100여 개의 유럽 지명과 35개의 아프리카 지명이 지도에 기재가 되어 있다. 이는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만들 때 참조한 지도들을 통하여 추리를 해 볼 수 있다.

                                                                                              그림 혼일강리 역대국도지도

  지도를 만드는 데 참여한 권근의 발문에 의하면, 이 지도는 중국에서 들여온 혼일강리도와 성교광피도를 좌정승 김사형과 우정승 이무와 이회가 검토한 후 합쳐 하나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성교광피도에는 요수(遼水, 중국의 랴오허) 동쪽과 우리나라가 자세하게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일본에 대한 지도를 첨부하여 새로운 지도로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혼일강리 역대국도지도는 이택민의 성교광피도에서 아랍지역을, 청준의 혼일강리도에서 중국을, 이회의 팔도지도와 동서가 남북으로 된 행기도(行基圖)에서 각각 우리나라와 일본을 참조한 것이다. 따라서 이 지도는 아랍,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 지도가 합쳐져서 편집된 세계 지도이며, 유럽과 아프리카의 지명은 성교광피도에서 인용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혼일강리 역대국도지도에는 신대륙이 빠져 있는데, 이는 이 지도가 신대륙 발견(1492)보다 무려 90년이나 앞서 만들어졌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권근의 발문에서 성교광피도는 지도로서 매우 상세한 지도였고 혼일강리도는 역대 국도연혁이 상세하였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지도의 윤곽, 지명, 산계와 하계망 등은 성교광피도에 따랐고, 지도 상단에 기록된 역대제왕의 국도연혁은 혼일강리도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이 두 지도는 모두 한국과 일본이 결여된 지도라고 생각된다. 중국의 세계지도는 중국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변두리 지역은 매우 간략하게 그리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은 이회가 새로 편집하여 추가하였다고 생각된다.  이회가 추가하여 보충한 우리나라 지도는 태종2년(1402)에 조정에 바쳤다는 이회가 만든 팔도지도로 추정된다. 이회가 보충한 일본지도는 박돈지가 일본에 사신으로 갔을 때, 건문 3년(태종 1년,1401)일본의 비주수 원상조 소장의 일본도를 얻어 모사하여 들여온 것이다. 지도를 얻은 경위와 그것을 모사하고 지문을 붙여 예조에 바쳤다는 기록을 세종실록 권80(20년 2월 19일)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대외적으로 불안정한 북방 영토 및 고려 말 이후 잦은 왜구의 침입 등에 대비하기 위해 세계 지도의 제작을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지도 제작은 행정과 국방상의 필요성 이외에 조선 왕조의 국가적 권위와 왕권을 확립하는데도 도움이 되었다.   조선은 세계지도를 만들기 위해 우선 사신을 통하여 다른 나라의 지도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지도 제작에 조정의 중신들이 직접 참여하였는데, 이러한 사실에서 세계 지도의 제작이 국가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사업이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혼일강리 역대국도지도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면 지도 가운데에 중국이 있고, 중국 오른편에는 조선과 일본이, 왼편에는 아프리카와 유럽이 자리 잡고 있고, 중국과 조선은 매우 정확하며, 하천과 도서를 자세히 기입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강은 매우 자세히 표현되어 있어, 중국 남부 지방은 마치 수많은 섬처럼 보인다. 그 중에서도 중국의 황하(黃河)는 다른 강들과 달리 노란색으로 표현되었으며, 만리장성도 뚜렷이 나타나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산줄기가 비교적 자세히 표현되어 있어 두 나라의 지형적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일본은 비록 방위는 틀리지만 혼슈(本州)와 큐슈(九州)의 형태가 비교적 정확하게 표시되어 있다. 이 지도의 가장 큰 특징은 한반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크게 그려져 있다는 것이다.   일본 루꼬꾸 대학 도서관 소장인 이 지도의 일본도는 교끼도라고 불리는 가장 오래된 일본지도로서, 일본의 북동부 지방이 돌출부로 나타나며, 큐슈가 원형이고 시꼬구 지방이 간략하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일본지도의 방위가 서쪽이 북쪽이 되어 있고, 동쪽이 남쪽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방위의 오류는 일본 전체에 대한 방위가 확실하지 않았다고 생각 할 수 있고, 또 서쪽을 지도의 상부로 하고, 동쪽을 지도의 하부로 그린 일본지도를 그대로 우리나라 남쪽에 그려 넣었다고도 추측된다. 이러한 오류는 1988년 일본 큐슈 시마바라의 혼꼬지에서 발견된 또 하나의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서는 일본도의 방위가 정상화 되어있다.  혼일강리 역대국도지도는 마테오리치의 곤여만국전도가 17세기 초에 출현하기 전 까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우리나라 지도일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고려시대의 우리나라 지도를 엿 볼 수 있는 자료이다.

Who's 임종옥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 해동지도 file 임종옥 2008.03.28 7153
25 지도 file 임종옥 2008.03.28 4444
24 조선지도 file 임종옥 2008.03.28 5882
23 여지도 file 임종옥 2008.03.28 4399
22 동국지도 file 임종옥 2008.03.28 6386
21 동국여지승람1, 2, 팔도총도 file 임종옥 2008.03.28 6222
20 동국여지도, 동국여지도(동국총도), file 임종옥 2008.03.28 7568
19 東國地圖 임종옥 2008.03.28 4366
18 八道地圖 임종옥 2008.03.28 4037
»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 임종옥 2008.03.28 8277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