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지도의 남해현 지도와 전체적인 구도가 비슷하나, 주산인 망운산의 좌향을 고려했기 때문인 듯 서쪽을 위로 향해 그렸다. 창선도는 남해현의 땅이 아니라 진주에 속해 경계만 나타난다. 이 지도(그림 8)는 읍치나 성곽․봉수를 중심으로 그리면서도 전체적으로 내용이 간략하고 묘사방법이 거친 것이 특징이다. 즉, 앞서 언급한 여러 지도들과 비교하면 봉산이라든가 고현성이 없다. 산은 7곳의 고립된 봉우리로 그리고 산 이름을 모두 기재하였다. 하천은 대천은 점선과 이름까지 기록되는데 파천은 점선만 묘사되어 있다. 이들 두 하천은 망운산 양쪽에서 흘러 읍치를 감싸면서 앞바다로 흘러들고 있다. 하천이 점선으로 묘사된 것은 다른 지도에서는 볼 수 없는 매우 특이한 경우이다. 읍치는 망운산 아래 자리하며 원형의 성곽을 둘렀으며, 邑治라고만 기재되어 있고, 원형 성곽이 5곳에 나타난다. 읍치 오른쪽에 향교가 있다. 읍치 앞 바닷가에는 조그만 건물과 함께 船所가 있다. 남쪽에는 미조항․상주포․곡포․평산포가 원형 성곽을 두르고 늘어서 있다. 성곽 안에는 그 이름과 함께 읍치까지의 거리가 표시되어 있고, 곡포와 상주포는 혁파되었다고 쓰여 있다. 북쪽에는 충렬사가 있고 읍치를 중심으로 도로가 산과 산 사이를 통해서 봉수와 진보․선소․노량진 쪽 등으로 복잡하게 연결되는 양상이 묘사되어 있다.
바다에는 부분적으로 배가 그려져 있고 수파묘로 표시되어 있다. 섬이 수록되나 이름이 없다. 도로는 실선으로 표시된다. 경상도 읍지의 부도에 없는 경계 표시가 나타나며 서쪽에 남대양이 표시된다. 지도에 표기된 지명은 읍치(邑治) 망운산(望雲山) 향교(鄕校) 선소(船所) 호포거읍십오리(湖浦距邑十五里) 녹두산(鹿頭山) 금산봉(錦山烽) 소흘산봉(所屹山烽) 원산봉(猿山烽) 왕지산(枉池山) 미조항(彌助項) 남대양(南大洋) 갈도(葛島) 조도(鳥島) 호도(虎島) 곡포(진보)(曲浦(鎭堡)) 미조항(진보)(彌助項(鎭堡)) 상주포(진보)(尙州浦(鎭堡)) 평산포(진보)(平山浦(鎭堡)) 곡포(曲浦) 상주포(尙州浦) 평산포(平山浦) 호포(湖浦) 충렬사(忠烈祠) 대천(大川) 동천(凍川) 露梁 只族津二十里 東接晉州昌善界 北接 昆陽界 西接全羅道順天界 등이다.
![]() |
Who's 임종옥![]()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