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3.28 07:39

1872년 군현지도

조회 수 57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필사본 회화식 지도로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 중에서 경상도(107장) 남해지도 이다.

조선 후기 군현지도가 활발하게 제작되면서 중앙에서 만들어진 지도가 민간에 유출되거나 혹은 지방 관아에서 화공에게 지시하여 각 지방을 상세하게 묘사한 지도가 편찬되기 시작하였다. 「군현지방지도」는 1866년 병인양요와 1871년 신미양요 등의 사건이 발생되면서, 서양의 동점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책의 일환으로 1871년 전국 각 군현의 읍지가 편찬되고, 규장각 소장 「1872년 군현지도」 중 南海縣 지도는 1872년 중앙에서 전국 각 지역의 군사시설 및 지역에 대한 파악의 일환으로 제작된 총 458종의 지도가 제작되었다. 기본적으로 군사적인 측면 특히 해방(海防)이 강조된 지도로 진보 등 군사시설의 지도를 별도의 지도로 작성하였다. 경상도 지도 104매 중 군현도가 50매에 달한다. 회화적 아름다움을 지니면서도 지도의 내용이 「해동지도」못지 않게 상세하다. 산과 하천, 고개, 왕릉, 사찰, 면, 역참, 장시 등 지역의 모습이 다른 어느 지도보다 상세하게 그려지고 있다.

 한편 군현지도와 동일한 내용의 지도가 「경상도지도」(9帖) 35×25㎝ 채색필사 규장각 奎10512)로서 축소되어 표현되고 있다. 이 지도는 각 도마다 1871년(고동 8) 열읍지도(列邑地圖) 등상령(謄上令)에 따라 1872년에 만들어진 지도가 낱장으로 있는데 비해 『경상도지도』는 없으며, 이 지도의 표기양식이 다른 도의 지도와 비슷한 점으로 보아 이 지도도 1872년에 만들어진 듯하다.

남해군 창선면을 제외한 지역으로 읍치는 남해읍 서변리 일대에 해당한다. 당시 창선도는 진주목에 속해 있었다. 남해는 경상도 남해안의 서쪽에 있으며 전라도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해 있다. 지도에는 고을의 주맥인 望雲山 자락에 위치한 읍치를 비롯하여 주변 지역의 모습이 비교적 소략한 필치로 표현되어 있다. 읍치에는 1459년(세조 5)에 축조된 성곽의 모습을 그려 넣었는데 관청 건물들은 생략하였다. 주변 지역에는 이 고을이 지니는 군사적 중요성으로 인해 여러 진영과 성곽, 봉수 등이 표시되어 있다. 고을 남쪽 僉使가 머물던 彌助鎭, 수군 萬戶의 平山鎭 등이 당시 전선이 배치된 수군 기지였다. 이전에 진영이었으나 1751년(영조 27)에 혁파된 尙州浦와 曲浦 진영의 모습도 그려져 있다. 읍치의 동쪽 해안에 있는 船所에는 왜군이 쌓은 天南臺와 1599년(선조 32)에 명나라 장수 張良相이 건립한 東征磨崖碑도 그려져 있다. 노량해협과 더불어 창선도를 사이에 두고 있는 只簇津, 전라도 순천과 연결되는 湖浦津이 중요한 關防으로 표시되어 있다. 창선이 처음으로 동쪽의 실제 위치에 표기되나 너무 크게 그려진다.

현 남쪽에는 관방․사창․봉수․용문사․보리암․전선 등이 표현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산이 과장되어 나타나며 도로가 붉은색으로 비교적 자세히 표시되며, 대천과 파천 등 하천 표시가 자세하다.

시기적으로 근대 일제 강점기 지도와 연결되는 시점이라서 해안선의 굴곡과 모양이 실제에 가깝게 그려진다.

지도에 표기된 지명은

갈도(葛島) 객사(客舍) 고산성(古山城) 고현성(古縣城) 곡포사창(曲浦社倉) 관방(關防) 관방(關防) 관방(關防) 관음포(觀音浦) 금산봉대(錦山烽臺) 낙지도(洛池島) 남대양(南大洋) 남산(南山) 남해읍치(南海邑治) 노도(櫓島) 노량진(露梁津) 녹두산(鹿頭山 당산(堂山) 대정사창(大亭社倉) 대천(大川) 동천(凍川) 등대동애구(登臺洞隘口) 마애비(磨崖碑) 망운산(望雲山) 망운암(望雲庵) 문장암(文章巖) 미조도(彌助島) 미조진(彌助鎭) 보제암(菩提庵) 봉강산(鳳崗山) 부소암(扶蘇巖) 비내사창(非乃社倉) 상주포(尙州浦) 석탑(石塔) 소도(蘇島) 소흘산봉대(所屹山烽臺) 어변소(禦邊所) 왕지산(枉芝山) 용문사(龍門寺) 원산봉대(猿山烽臺) 읍천(邑川) 장도(長島) 장시(場市) 전선(戰船) 전선(戰船) 전선(戰船) 조도(鳥島) 조창(漕倉) 지족진(只簇津) 천남대(天南臺) 충무공비(忠武公碑) 충무공비각(忠武公碑閣) 평산진(平山鎭) 향교(鄕校) 호도(虎島) 호포진(湖浦津) 화방사(花芳寺) 등 57개 지명이다.

 남해와 창선을 제외한 8개 섬(갈도(葛島) 낙지도(洛池島) 노도(櫓島) 미조도(彌助島) 소도(蘇島) 장도(長島) 조도(鳥島) 호도(虎島))이 표기된다.

Who's 임종옥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 그리기 지도(백지도) file 임종옥 2008.03.28 68207
15 동국여지도(경상도) file 임종옥 2008.03.28 6086
14 경상도도회 file 임종옥 2008.03.28 4968
» 1872년 군현지도 file 임종옥 2008.03.28 5710
12 海東地圖 file 임종옥 2008.03.28 4686
11 靑邱要覽 file 임종옥 2008.03.28 3970
10 靑邱圖 file 임종옥 2008.03.28 5213
9 朝鮮地圖 file 임종옥 2008.03.28 5155
8 輿地圖書 file 임종옥 2008.03.28 4666
7 輿地圖 file 임종옥 2008.03.28 4800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