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미국에서 환수한 19세기 ‘국새 대군주보’(國璽 大君主寶)를 비롯해 1946년 일본에서 환수한 대한제국기 ‘국새 제고지보’ ‘국새 칙명지보’ ‘국새 대원수보’ 등 고종이 공문서에 찍던 인장 4과가 보물로 지정됐다고 문화재청이 24일 밝혔다. 지금까지 보물 국새는 ‘대한제국 고종 황제어새’ 등 3과뿐이었다.
‘국새 대군주보’는 1882년(고종 19년) 제작된 것으로, 은색의 거북이 모양 손잡이와 도장 몸체로 구성된 정사각형 형태다. 보면(寶面)에는 구첩전(글자의 획을 여러 번 구부려 쓴 전서체)으로 대조선국의 대군주라는 의미를 지닌 ‘대군주보’라는 글씨가 한자로 새겨져 있다. 이 국새는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을 앞두고 고종이 국가의 상징물인 국기와 국새를 함께 만들도록 명하면서 탄생했다. 19세기 말 급변하던 국제 정세 속에서 공식 문서에 자주독립국을 지향하는 의미로 사용하기 위해서다. 총 6과가 만들어졌지만 유일하게 이것만 전한다. 형태, 재질, 주물방식 등에서 대한제국 이전 고종 대 국새 제작 방식이 담겨 있다.
함께 지정된 ‘국새 제고지보’ ‘국새 칙명지보’ ‘국새 대원수보’는 모두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로 등극한 대한제국기(1897~1910)에 제작됐다. 한일강제병합 이후 1911년 약탈당해 일본 궁내청으로 들어갔으나 광복 후 1946년 8월 15일 미 군정이 궁내청에서 환수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 중이다. 조선왕실 어보가 거북형 귀뉴인데 반해 대한제국 국새는 용뉴(용 모양의 손잡이)로 돼 있는 등 시대적 변화를 보여준다.
고려 금속 공예 기술의 절정을 보여주는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 공양구 일괄’을 비롯해 조선 초기 음식 조리서인 ‘수운잡방’, 불경 ‘예념미타도량참법 권 1~5’ 등도 보물로 지정됐다. 영국사지 출토 의식 공양구는 조선 시대 유학자 조광조를 기리기 위해 세운 도봉서원 터에서 2012년 수습됐다. 출토된 총 79점 중 명문이 있어 제작 시기가 뚜렷한 것, 조형성이 우수한 작품을 선별해 금동금강저 1점, 금동금강령 1점, 청동현향로 1점 등 총 10점을 지정했다. 애초 조선 시대 도봉사원터로만 알려졌으나 2017년 추가 발굴조사에서 비석 파편이 발견되면서 고려 사찰 영국사 터였음이 확인됐다.
‘수운잡방’(需雲雜方)은 경북 안동의 유학자 김류(1491∼1555)에서부터 그의 손자 김영(1577∼1641)에 이르기까지 3대가 저술한 한문 필사본 음식 조리서다. 음식 조리서가 보물이 된 것은 처음이다. ‘예념미타도량참법’은 1474년(성종 5년) 세조의 비인 정희왕후가 발원한 왕실판본 불경이다.(국민일보, 2021년 08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