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청구영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조계사 목조여래좌상’·‘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등도 보물 지정 예고

조선 후기에 편찬된 최초의 가집(歌集·시조집) ‘청구영언(靑丘永言)’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28일 국립한글박물관이 소장한 청구영언과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소장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경남 사천시 백천사 소장 ‘달마대사관심론’, 성균관대 소장 ‘춘추경좌씨전구해 권1∼9, 20∼29, 40∼70’ 등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또 국보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인 불교 전적(典籍·글과 그림을 묶은 책) 2건을 추가로 지정 예고했다.

청구영언은 ‘해동가요’ ‘가곡원류’와 함께 조선 3대 가집으로 일컬어지며, 조선 후기까지 전승된 노랫말 580수가 수록됐다. ‘청구’는 우리나라, ‘영언’은 노래를 뜻한다. 김천택이 1728년 편찬했다고 알려졌으나,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책의 글씨가 김천택의 친필인지는 비교 자료가 없어 단정하기 어렵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가곡’의 원천이 된 자료로, 다양한 계층이 사용한 언어와 한글 서체를 알 수 있어 국문학사·음악사·서예사 등 여러 측면에서 의미 있는 유물로 평가된다.

조계사 목조여래좌상은 본래 전남 영암 도갑사에 있던 것을 1938년 6월 조선불교 총본산 건립에 맞춰 조계사 대웅전으로 옮긴 것이다. 제작 시기는 15세기로 추정되며, 명나라 티베트 불상 양식을 수용한 희귀한 사례다. 생각에 잠긴 듯한 얼굴과 날씬하고 가느다란 신체, 유려한 옷 주름, 생동감 있는 세부 표현이 특징이다.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는 2007∼2008년 고려시대 선박 ‘태안선’ 조사 도중 발견된 고려 유물이다. 충남 태안군 대섬 앞바다에서 발견된 태안선은 12세기 초 전남 강진에서 출발해 고려 수도 개경으로 향하다 침몰한 것으로 추정된다. 둥근 몸체와 사자형 장식 뚜껑으로 구성된 향로는 다소 파격적이고 거칠게 표현됐지만, 형태가 고려청자 중에는 드문 편이다.

달마대사관심론은 선종 창시자인 달마대사가 설법한 교리를 정리한 불경이다. 백천사 소장본은 1335년 경주에서 만든 목판으로 조선시대 초기에 찍었다. 마지막 장에 간행 관련 기록이 남아 있다.

춘추경좌씨전구해는 춘추시대 역사서 ‘춘추’의 주석서다. 보물로 새롭게 지정 예고된 책은 50권 5책으로, 1431년 경북 청도에서 다시 새긴 목판으로 인쇄했다.

국보로 추가될 가능성이 큰 영주 흑석사 복장유물은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4’와 ‘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5 - 변상도’다. 변상도는 불교 경전 내용과 교리를 나타낸 그림이다. 모두 1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내부에서 나왔다.(문화일보, 2022년 02월 28일)

Who's 지리임닷컴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