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 자료

상위 1% 근로소득자 100명 중 4.3명만 부산의 직장에 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75명은 수도권 직장인이었다. 고소득 일자리의 지역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증거다.


21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광역자치단체별 상위 1% 근로소득자(2020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자료에 따르면 국내 상위 1% 근로소득자는 19만4953명이었다.

이중 서울·경기·인천에서 직장을 다니는 근로자는 74.5%인 14만5322명에 달했다. 특히 서울이 44.5%인 8만6716명으로 1위였다. 그 뒤를 경기도 5만2651명(27.0%)가 이었다.

제2도시 부산의 상위1% 근로소득자는 8447명(4.3%)으로 서울의 10% 수준에 그쳤다. 경남은 6340명(3.3%))이었다. 울산은 3262명이었다.

인구 10만 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 역시 서울이 897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경기(392명) 울산(287명) 부산(249명) 대전(223명)이 이었다.

반면 인구 10만 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 수가 적은 곳은 강원(124명) 전북(129명) 세종(145명) 전남(151명) 제주(172명) 순이었다.

지역의 소득 격차는 불안한 노후로 연결된다. 통계청의 ‘2020년 중·장년층 행정통계’에 따르면 공적연금과 퇴직연금 중 어느 것 하나에도 가입하지 않은 부산 중·장년층 인구(40~64세)가 지역 전체 중·장년층 인구 가운데 27%를 차지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최고치다. 연금 미가입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노후 대비 수준이 미흡하다는 의미다. 자녀와 함께 사는 부산 중·장년층 가구(40~64세 인구가 세대주로 있는 가구) 가운데 해당 자녀의 연령이 30세 이상인 경우도 전국에서 가장 높은 11%에 달했다.

김 의원은 “지역은 인구와 직장·소득 측면에서도 위기를 맞고 있다. 균형발전을 위한 대대적인 정책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국제신문, 2022년 03월 22일)

Who's 지리임닷컴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