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8 13:18

오색동백

조회 수 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오색동백.jpg 


울산시청 정원에는 특별한 동백나무 한 그루가 있다. 이 동백 주변에는 폐쇄회로TV(CCTV)가 설치돼 있다. 24시간 감시를 위해서다. 동백나무의 유래 등이 적힌 안내판도 설치돼 있다. 이처럼 동백나무가 특별한 대접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연은 400여 년 전 임진왜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울산시 중구 학성동 일대는 오색팔중(五色八重) 동백의 자생지였다. 오색팔중은 한 나무에 다섯 색깔(오색)의 여덟겹(팔중) 꽃이 피어 붙여진 이름이다. 흰색과 분홍·진홍 등이 섞여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는 희귀한 동백이다.
임진왜란 때 울산을 유린한 왜장 가토 기요마사가 이 동백을 일본으로 가져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자주 찾던 교토의 절에 심었다. 이후 이 절은 ‘동백나무절’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울산에선 오색팔중을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됐다.
오색팔중은 1992년 5월 울산 민간단체들의 노력으로 다시 울산에 돌아왔다. 당시 한국예총 울산지부장이었던 최종두(75·시인)씨가 일본에서 오색팔중을 발견해 끈질긴 동백 송환운동을 벌인 끝에 단 한 그루를 돌려받은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95그루로 늘었다. 울산시농업기술센터가 지난해 4월부터 증식작업을 해 어린 묘목으로 길러낸 덕분이다. 증식된 오색팔중은 현재 꽃망울을 터뜨렸지만 묘목 건강을 위해 제거됐다. 묘목 크기는 30㎝ 정도다.
농업기술센터는 증식에 가지를 잘라 기르는 삽목(揷木)법을 썼다. 꽃씨로 새 싹을 길러낼 경우 나무 세대가 달라져 특성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서다. 하루도 빠짐없이 생육상태를 관찰하고 온도·습도를 관리하는 등 정성을 다했다.
농업기술센터는 오색팔중을 3~4년 더 키워 노지에서도 잘 자란다고 판단되면 울산시청 등 관공서에 심을 계획이다. 별도의 동산도 만들 계획이다. 고향에 뿌리내리게 하기 위해서다.(중앙일보, 4월 9일)

Who's 지리임닷컴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9 63빌딩 file 임종옥 2008.03.22 5000
188 ABYSS Pool file 임종옥 2008.03.22 4877
187 ALBERT MEMARIAL file 임종옥 2008.03.22 4564
186 An Exploed Bay file 임종옥 2008.03.22 4924
185 ET바위 file 임종옥 2008.03.22 4909
184 IAA(International Automobile Ausstelung) file 지리임닷컴 2015.10.13 3204
183 U자곡 file 임종옥 2008.03.22 6998
182 yellow texi file 임종옥 2008.03.22 5051
181 아과스칼리엔테스 지역 온천수 file 임종옥 2008.03.22 5160
180 아그라 타지마할 file 지리임닷컴 2008.03.22 54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