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 출생 '데드크로스' 진입
국내 인구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줄었다. 출생자는 27만 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내며 사망자(30만 명)를 밑돌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구 감소 추세는 가속화할 전망이다.
3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국내 주민등록 인구는 5182만9023명으로 2019년보다 2만838명(0.04%) 감소했다. 연간 기준으로 주민등록 인구가 줄어든 것은 처음이다. 주민등록 인구는 대한민국 국적을 갖고 주민등록표에 기재된 거주자, 재외국민, 귀화자 등을 대상으로 출생·사망, 국적 취득·상실 등을 반영해 행안부가 매년 집계하고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아지는 ‘인구 데드크로스’가 발생했다. 출생자는 27만5815명으로 전년 대비 10.65%나 감소했다. 사망자는 30만7764명으로 3.10% 늘었다.
가구 수는 2309만3108가구로 사상 최다를 나타냈다. 1인 가구가 900만 가구를 넘어서 전체의 40%에 육박하는 등 폭발적으로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최종학 서울대 경영대 교수는 “코로나19로 인구 구조 변화가 더 빨라질 것”이라며 “기업은 내수시장 축소 충격에 대비해 해외 비중 확대에 속도를 내야 하고, 정부는 분배 등에 대한 정책 방향을 다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출산 쇼크…인구 2만838명 줄어
'1인 세대' 900만…전체의 40% 육박
‘2020년이 인구 감소의 원년이 될 것’이란 우려가 현실이 됐다. 지난해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넘어서면서 사상 처음으로 ‘인구 데드크로스’가 발생했다. 인구구조 변화가 본격화함에 따라 정부 정책과 기업 경영전략 등 사회 전반적인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출생자 수가 30만 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7년 40만 명을 하향 돌파한 이후 3년 만이다. 전년비 출생자 감소폭도 크다. 2018년 7.9%, 2019년 7.6%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 10.6%나 줄었다. 반면 사망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면서 지난해 30만 명을 넘어섰다. 출생자 수 추이는 지속적으로 우하향한 반면 사망자 수는 우상향하며 지난해 첫 인구 데드크로스가 발생한 것이다.
올해를 시작으로 인구 감소 추세는 더욱 빨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30일 ‘포스트코로나시대 인구구조 변화 여건 점검’ 보고서에서 “코로나19가 사회 전반의 경제·심리적 불안을 키워 젊은 층의 혼인과 출산 결정을 취소 혹은 연기하는 쪽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1인 가구 비중 증가, 비대면 생활 방식 확산, 경쟁 환경 심화 등으로 저출산이 가속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 지난해 1인 가구는 급증했다. 주민등록상 1인 세대 수는 전년도보다 57만4741세대(6.7%) 늘어난 906만3362세대로 처음으로 900만 세대를 돌파했다. 1인 세대가 전체 세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35.0%에서 지난해 39.2%로 훌쩍 뛰었다. 이에 비해 4인 이상 세대 비율은 2016년 25.1%에서 지난해 20.0%로 떨어졌다. 이 같은 영향으로 지난해 평균 세대원 수는 2.24명으로 사상 최저치를 나타냈다.
고령화는 심화했다. 60대 이상 인구가 전체의 4분의 1 수준에 달했다. 60대 비중은 13%, 70대 이상은 11%였다. 10년 전인 2011년에 비하면 각각 4.7%포인트, 3.5%포인트 늘었다.
서승우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정책관은 “인구 감소 시작, 1인 가구의 폭발적 증가 등이 통계로 확인된 만큼 사회·경제 전반에 걸쳐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정부는 인구구조 변화를 기점으로 각 분야의 정책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한국경제, 2021년 01월 03일)
2020년 대한민국 인구, 사상 처음으로 줄었다
출생자가 사망자보다 적은 인구 '데드크로스' 결과
1인 가구 비중은 증가…60대 인구 비중도 늘어
행안부 "2020년, 인구 통계적 인구 감소의 시작…각 분야 정책 방향 새롭게 설정해야"

스마트이미지 제공3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020년 12월 31일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는 5182만 9023명으로, 2019년 말 5184만 9861명에 비해 2만 838명이 감소했다. 지난해 출생자 수는 약 27만 6천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반면, 사망자는 30만 8천명으로 더 많아서다.
지난해 처음으로 출생자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아지며 인구가 자연 감소하는 '인구 데드크로스(dead cross)'를 보인 것이다. 출생자 수는 2017년 36만 3천명으로 30만명 선으로 내려왔지만, 불과 3년 만에 30만명선이 또 무너졌다. 2011~2018년 8년 연속 증가하던 사망자 수는 2019년 감소세로 돌아섰다가 지난해 다시 증가했다.
행안부는 "출생자 수가 사망자 수보다 적은 '인구 데드크로스'가 지난해 주민등록인구 사상 첫 감소의 주요 원인"이라며 "저출산 현상이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다가옴에 따라 정부 정책에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반면 1인 가구 비중은 대폭 늘어 세대수는 증가했다. 2011년 2003만 세대에서 작년 2309만 세대까지 늘어났다. 1인 가구가 작년 906만3362세대까지 늘어난 영향이다. 그 결과 1세대당 평균 세대원수는 작년 사상 최저치인 2.24명으로 감소했다. 2011년에는 이 수치가 2.53명이었다. 1인세대 비중은 전체 세대의 39.2%까지 올랐다. 2인 세대까지 합하면 62.6%에 이른다. 반면 4인 이상 가구는 20%에 그쳤다.

스마트이미지 제공행정안전부 서승우 지방행정정책관은 "2020년은 인구 통계적으로 인구감소의 시작, 1·2인세대의 폭발적 증가, 역대 최저의 출생자 수 등으로 인해 사회·경제 전반에 걸쳐 변화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며 "정부는 2020년을 기점으로 각 분야의 정책 방향을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노컷뉴스, 2021년 01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