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에 사는 여성 가운데 혼인안해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 통계: 통계로 보는 서울 성'을 발간했는데 그 결과 여성 28.1%가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답한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남성은 31.6%가 동일 질문에 답했다.
인구변화를 살펴보면 2021년 2/4분기 서울시 주민등록인구는 약 979만 명으로, 그 중에서 여성이 51.4%(약503만 9천 명)를 차지한다. 남성 48.6%(약 475만 6천 명)보다 2.8%p 더 높다.
서울시 인구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50.2%)이후 계속해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대에 맞춰 전통적인 결혼관이 점차 바뀌고 있는 가운데 '남녀가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말한 비율은 여성 58.1%, 남성 60.8%로 응답했다.
또 남성(52.7%)은 여성(47.2%)보다 '결혼생활에 있어 당사자보다 가족 간의 관계가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10대를 포함한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이 결혼생활에 있어 가족 간 관계를 중요하게 여겼다.
정치 참여에서는 2020년 4월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여성 투표율(68.5%)이 남성(67.6%)보다 소폭 높았다. 연령별로는 50대까지 여성 투표율이 남성보다 높지만, 60대 이상부터는 남성 투표율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60~70대 남성의 투표율을 80%이상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사회참여 활동으로는 온라인으로 이뤄지는 '정치사회적 의견 달기'가 남성(21%)과 여성(16.7%) 모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민원제안 및 제기', '집회·시위 참가', '정책 제안'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는 여성보다 남성이 사회참여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용량은 2020년 기준 스마트 기기 평일 하루 평균 활용 시간은 남녀 모두 2시간이며, 여성은 전년대비 0.8시간, 남성은 0.6시간 늘었다.

스마트폰 의존도가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여성 37.9%, 남성 32.2%가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10대의 경우, 남녀를 불문하고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해 업무(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거나 주변 사람과의 다툼을 경험했다는 응답이 많았다.
여성 24.6%, 남성 26.5%가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주변 사람과 다툼이 발생했으며, 여성 30.4%, 남성 29.8%가 스마트폰 사용으로 업무나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여성의 58.7%, 남성의 48.4%가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해 업무(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었고, 10대 여성의 40.4%, 남성의 41.6%가 주변 사람과의 다툼을 경험했다.
코로나19 이후 생활패턴의 변화는 2020년 ‘혼자서’ 여가활동을 한다는 응답은 전년대비 약 7.2%p 증가했다. 실내 활동(영상시청, 컴퓨터 게임)은 전년대비 증가한 반면, 외부활동(여행, 야외 나들이, 종교활동)은 감소했다.
여가활동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를 살펴보면, 컴퓨터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운동은 남성이, 종교활동은 여성이 더 많이 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남녀(여성 57.6%, 남성 55.1%) 모두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간 갈등은 '변화 없음'이라는 응답(여성 50.3%, 남성 50.0%)이 가장 높고, 가족갈등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여성 34.7%, 남성 33.4%순이였다.
서울의 여성(80.6%)과 남성(78.6%)은 모두 집이란 '휴식과 재충전을 위한 공간'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일부(여성 6.1%, 남성 6.9%)는 집이 '재산 증식을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