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총 1만5000쪽 분량..1959년 지명 및 시대상 반영
"깊이 있는 학계 연구 진행되길 희망"
(사진제공=국토부) © 뉴스1

국토지리정보원이 대한민국 최초의 전국 지명조사철 194권을 국토정보플랫폼에 공개했다.

국토교통부는 7일 지명과 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학계의 관련 분야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이번 공개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공개된 전국 지명조사철은 1959년 시행된 지명조사사업 과정에서 전국의 모든 읍·면·동에 대한 현지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된 공간정보 역사기록물이다. 총 1만5000쪽에 달하는 분량으로 약 60년 만에 일반에 공개됐다.

1950년대는 각 지형·지물이나 주요 장소의 지명이 부르는 사람마다 다른 경우가 많았고, 정부는 혼선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전국 주요 지명의 통일·제정을 목적으로 지명조사사업을 추진했다.

지명조사사업은 국토지리정보원의 전신인 지리연구소 내에 설치된 중앙지명제정위원회와 시·도, 시·군, 읍·면·동에 각각 설치된 각급 지명제정위(이하 지명위)를 통해 진행됐다.

전국 각지의 읍·면장, 이장 등을 포함해 각급 지명위에 참여한 인원은 3만3000명에 달했다. 사업의 성격이나 규모로 볼 때 건국 이래 처음 이뤄진 최대 규모의 공간정보 구축사업이다.

지명조사철에는 조사지역(행정구역), 조사용 도면, 각 지명별 조사결과가 수록됐다. 지명별 조사결과 부분에는 Δ현지에서 불리는 지명 Δ지명의 종류 Δ경위도 Δ지명 유래 등이 자세히 기록됐다. 마을, 산업시설 등 지명의 종류에 따라 거주 가구 수, 근무자 수 등도 구체적으로 기록돼 당시의 사회상을 간접적으로 엿볼 수 있다.

정부는 지명조사철 내용을 근거로 1961년에 약 8만 건을 '표준지명사용에 관한 건'으로 관보에 고시했는데, 이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명 고시 제도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963년에는 이렇게 고시된 표준지명을 근간으로 건국 이래 최초의 민간 지도가 만들어졌다.

사공호상 국토지리정보원장은 "이번 자료 공개를 통해 한국전쟁 이후 국토 재건에 박차를 가하던 당시의 국토공간정보와 사회상을 지명의 관점에서 들여다보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명에 대한 방대한 역사기록물인 지명조사철 전문이 공개되는 만큼 관련 학계를 통해 깊이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공개되는 지명조사철 원문의 모든 내용은 국토지리정보원이 운영하는 국토정보플랫폼(http://map.ngii.go.kr)에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뉴스1, 2022년 07눵 07일)